본문 바로가기

사회복지

감정을 말로 표현하지 못할 때 – 감정 정리의 첫걸음은 ‘단어 찾기’

 

✅ 서론 

- 기분은 분명 불편한데, 도대체 왜 그런지 모르겠는 날이 있다.
혹은 마음이 복잡한데 말로는 잘 표현이 되지 않는다.
그래서 그저 “그냥 기분이 안 좋아”, “짜증 나” 같은 표현으로만 끝나버린다.

하지만 감정을 언어로 정확히 짚어내는 순간,
우리 뇌는 불명확했던 감정을 통제 가능한 상태로 인식하기 시작한다.

이 글에서는 감정을 말로 표현하기 힘든 사람들을 위해
✔ 감정 단어 리스트
✔ 감정 분류표
✔ 감정을 정리할 수 있는 3단계 문장 뼈대를 소개한다.
말하지 못한 감정을 기록할 수 있도록 돕는 가장 쉬운 시작이 될 것이다.

 

감정을 말로 표현하지 못할 때 – 감정 정리의 첫걸음은 ‘단어 찾기’

✅ 1. 왜 감정을 말로 표현하지 못할까?

감정을 언어로 표현하지 못하는 가장 흔한 이유는 아래와 같다:

  • 어릴 때 감정을 표현하는 법을 배우지 못했기 때문
  • 불편한 감정을 말하면 ‘예민하다’는 평가를 받았기 때문
  • 자신의 감정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연습이 부족했기 때문

이러한 경험은 결국
📌 감정은 있어도
📌 말로 표현하지 못하는
📌 “정서 언어 결핍 상태”를 만든다.

이 상태가 지속되면 감정이 억눌리고,
무의식 속에서 신체화(두통, 가슴 답답함 등) 혹은 무기력, 폭발적 감정으로 나타날 수 있다.

✅ 2. 감정 정리의 첫걸음: ‘감정 단어’를 찾자

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
**“나는 지금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가?”**를
구체적인 단어로 꺼내보는 것이다.

아래는 5가지 감정군(기쁨·슬픔·분노·불안·무감정)별
감정 단어 예시이다.

😊 기쁨 관련 감정

  • 뿌듯함
  • 편안함
  • 감동
  • 만족
  • 기대됨
  • 사랑스러움

😔 슬픔 관련 감정

  • 외로움
  • 실망
  • 허무함
  • 서운함
  • 슬픔
  • 낙담

😡 분노 관련 감정

  • 억울함
  • 짜증
  • 무시당함
  • 참을 수 없음
  • 화남
  • 분개

😰 불안 관련 감정

  • 걱정됨
  • 조마조마함
  • 두려움
  • 긴장됨
  • 불안함
  • 초조함

😶 감정 없음 / 감정 마비 상태

  • 무기력
  • 공허함
  • 아무 생각 없음
  • 텅 빈 느낌
  • 마비된 것 같음

✅ 팁: 감정 단어는 ‘색깔’처럼 세분화할수록 정확해진다.
“그냥 짜증”보다 “무시당해서 억울함”이 정서 회복에 훨씬 유리하다.

 

✅ 3. 감정을 꺼내는 3단계 문장 뼈대

말로 표현하지 못하겠다면,
다음의 3단계 뼈대를 따라 기록으로 정리해보자.
손글씨든 메모앱이든 상관없다.

📘 [Step 1] 지금 기분을 한 단어로 써보기

오늘 내 기분을 가장 잘 설명하는 단어는 (예: 서운함)

 

📘 [Step 2] 그 감정을 느끼게 한 사건 또는 상황

왜 그런 감정을 느꼈는가?
(예: 내가 말하는데 친구가 휴대폰만 보고 있어서)

 

📘 [Step 3] 내가 그 감정을 어떻게 다루고 싶은지

감정을 없애는 게 아니라 ‘어떻게 다루고 싶은지’를 써본다
(예: 지금은 그냥 묻어두고 싶다 / 나중에 말해보고 싶다)

 

 

✅ 이 3단계를 매일 3줄씩 기록하면,
점차 감정 언어 표현력이 늘어나고
감정 폭발 없이 ‘조용한 처리’가 가능해진다.

 

✅ 4. 말하지 않아도 ‘감정을 기록하면’ 바뀌는 것

감정을 단어로 붙잡고 문장으로 정리하면
다음과 같은 효과가 생긴다:

  • 감정이 통제 불가능하지 않다는 안정감
  • 자기 자신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거리 확보
  • 감정의 반복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 힘
  • 타인에게 말하기 전, 나에게 말하는 연습이 가능

언어가 감정을 구체화하면,
감정은 그 순간부터 덜 두려운 것이 된다.

 

 

✅ 5. 감정 언어 표현력 높이기 위한 실천 팁

💡 매일 감정 단어 1개씩 수집하기

  • 하루 동안 내가 느낀 감정 단어를 노트에 기록
  • “왜 그랬을까?”를 한 줄만 써보기

💡 친한 사람과 ‘기분 대화’ 시작하기

  • “오늘 기분 어땠어?”
  • “그 일 듣고 어떤 감정 들었어?”
    → 대화를 감정 중심으로 리드하는 습관

💡 불쾌한 감정도 기록하기

  • 감정 기록은 긍정적인 것만 쓰는 게 아님
  • “싫었다”, “짜증났다”, “외로웠다” 모두 유효한 감정 표현

✅ 마무리 – 감정을 언어로 말하는 건, 나를 이해하는 일

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은 단순한 말솜씨가 아니다.
그것은 내가 나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보여주는 거울이다.

말할 수 없는 감정은 종종 내 안에서 병이 되지만,
말할 수 있게 된 감정은 그 자체로 이미 절반은 정리된 것이다.

“지금 나는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지?”
이 한 줄의 질문이,
당신의 감정을 다루는 힘이 된다.